본문 바로가기
IT 에 관한 잡썰

알바몬 해킹 사태와 SKT 유심보호 자동 가입

by 개발하는 늑대 2025. 5. 2.
728x90

 

알바몬 해킹 사태와 SKT 유심보호 자동 가입

알바몬 해킹 사태 개요

2025년 4월 30일, 알바몬은 ‘이력서 미리보기’ 기능에서 비정상적 접근과 해킹 시도를 감지해 즉시 차단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약 2만 2,473건의 임시 저장된 이력서 정보(이름, 휴대폰번호, 이메일 주소 등)가 유출되었습니다. 알바몬은 5월 2일 사과 공지를 게시하고, 유출 여부 확인과 보상 안내를 제공했습니다.

728x90

SKT 유심 대란과 최신 대응

SK텔레콤은 4월 19일 악성코드 공격으로 약 2,500만 가입자의 유심 정보(전화번호, 성명, 주소, 생년월일, 이메일, USIM 고유번호 등)가 유출되었습니다. 4월 28일부터 무료 유심 교체를 시작했으나, 물량 부족으로 공항과 대리점에서 대란이 발생했습니다. 5월 3일 새벽 출국 피크에는 인천공항 로밍센터에 수백 명이 몰려 2~3시간 대기했습니다. SKT는 5월 2일부터 전 가입자 대상 유심보호서비스 자동 가입을 시작했으며, 5월 5일부터 신규 가입자 모집을 중단해 유심 재고 확보에 집중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유심보호서비스는 유심 복제를 차단하며, 5월 14일부터 로밍 시에도 이용 가능한 ‘유심보호서비스 2.0’이 도입됩니다.

카카오와의 연관성

카카오는 2025년 3월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서버 악성코드 유출 사건(임직원 60명 정보 유출)을 겪으며 보안 강화를 추진 중입니다. SKT 유심 대란으로 카카오 인증서비스(더즌)에 관심이 증가했으나, 알바몬 사태와 직접적 연관성은 없습니다. 연이은 해킹 사태로 개인정보 보호 인식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사회적 반응과 이용자 불안

X 게시물에 따르면, 알바몬 해킹 사태와 SKT 유심 대란은 큰 불안을 야기했습니다. 한 이용자는 개인정보가 “공공재”라며 비판했고, “모든 인프라가 털린 듯”이라는 반응도 나왔습니다. SKT의 유심보호서비스 자동 가입은 긍정적이나, 신규 가입 중단에 대해 “폐업 수준”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알바몬은 보상안(예: 10만원 지급 제안)으로 신뢰 회복을 시도 중이며, SKT는 집단 소송과 국민동의 청원으로 압박받고 있습니다.

이용자를 위한 권장 조치

알바몬 및 SKT 이용자 대처법:

  • 알바몬 유출 확인: 알바몬 홈페이지에서 개인정보 유출 여부 확인 후, 비밀번호 변경 및 2단계 인증 설정.
  • SKT 유심보호서비스: 5월 2일부터 자동 가입되나, T월드 앱/웹에서 가입 여부 확인. 해외 출국 예정자는 5월 14일 이후 ‘유심보호서비스 2.0’ 가입 권장.
  • 유심 교체: 출국 전 인천공항 로밍센터 방문 시 3~4시간 전 도착. 또는 SKT 매장에서 소프트웨어 유심 포맷 문의.
  • 보안 강화: 유출된 정보로 인한 피싱 시도 주의. 의심스러운 연락 즉시 차단.
  • 보상 문의: 알바몬 유출 피해자는 보상안 수령을 위해 이메일·문자 확인. SKT는 고객센터로 피해 신고.

참고 출처

  • 알바몬 공식 홈페이지 - 개인정보 유출 확인 및 고객센터
  • SK텔레콤 공식 웹사이트 - 유심보호서비스 및 교체 안내
  • 인천국제공항 - 로밍센터 위치 및 운영 시간
  • 카카오 고객센터 - 인증서비스 및 보안 문의
  • The Korea Herald - SKT 유심 대란 관련 보도
  • 연합뉴스 - 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현황
  • 뉴스1 - SKT 신규 가입 중단 발표
  • X (@SKtelecom) - SKT 공식 계정 게시물

작성일: 2025년 5월 2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