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일: 2025-11-13
누리호 4차 발사 vs. ISS 근접 통과: 우주 최악의 충돌 시나리오와 회피 전략
대한민국 우주 개발의 쾌거로 불리는 누리호의 4차 발사가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발사는 단순한 기술적 도전을 넘어, 국제우주정거장(ISS)과의 예기치 않은 근접 통과라는 국제적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발사체와 ISS 간의 최소 안전거리인 200km를 보장해야 하지만, 특정 시간대에 이 거리가 위반될 것으로 예측되어 긴급 발사 시각 조정에 들어갔습니다. 이번 기사는 우주 교통 관제 역사상 드문 이 충돌 위험의 전말과, 이를 완벽하게 회피하기 위한 대한민국의 '007 작전급' 정밀 우주 회피 전략을 심층 분석합니다.
- 2025년 11월 27일 예정된 누리호 4차 발사 중, ISS와의 최소 안전거리(200km 미만) 위반 위험이 예측되었습니다.
- 항우연은 위험 시간대(오전 1시 12분~1시 14분)를 회피하기 위해 발사 시각을 오전 0시 54분에 가깝게 정밀 조정할 계획입니다.
- ISS는 미소유성체에 대응하는 방호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나, 대형 발사체 충돌은 사전 궤도 회피 기동(DAM) 또는 발사 스케줄 조정이 최우선입니다.
- 최종 발사 시각은 발사 전날 발사관리위원회에서 확정되며, 실시간 관제 시스템을 통해 안전이 담보됩니다.
1. 예외적 우주 교통 상황 발생: 누리호와 ISS의 위험한 근접
누리호 4차 발사는 2025년 11월 27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 발사 구간 중, 국제우주정거장(ISS)이 한반도 상공을 근접 통과하는 예외적인 궤도 조건이 겹쳤습니다. ISS는 지구 저궤도(LEO)를 초속 약 7.7km의 속도로 비행하며 90분마다 지구를 한 바퀴 도는 초대형 구조물입니다. 발사체는 이 경로를 뚫고 올라가야 하기에, 두 물체의 궤도가 순간적으로 겹치는 '위험 시간대'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예상되는 충돌 위험 시간대와 최악의 시나리오
항우연과 관련 기관의 궤도 분석 결과, 발사 당일 오전 1시 12분부터 1시 14분 사이에 누리호 발사체와 ISS 간의 거리가 최소 안전거리인 200km 미만으로 좁혀질 것으로 예측되었습니다 [1]. ISS의 크기는 길이 108m, 폭 73m로 축구장과 맞먹는 수준이며, 시속 약 27,600km(초속 7.7km)로 비행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 속도에서 충돌이 발생하면, 그 여파는 우주 파편(Space Debris)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켜 케슬러 증후군(Kessler Syndrome)을 가속화할 수 있는 인류 역사상 최악의 우주 대참사가 될 수 있습니다.
ISS와 누리호 같은 대형 발사체의 충돌은 단순히 한 국가의 발사 실패를 넘어섭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수많은 파편들은 다른 위성과 우주 자산에 연쇄적인 충돌을 일으켜, 향후 수십 년간 지구 저궤도(LEO)의 이용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는 극단적인 위험을 내포합니다. 따라서 발사 시각 조정은 단순한 권고가 아닌, 국제적인 우주 안전 의무입니다.
2. KARI의 선제적 대응 전략: 발사 시각 조정의 과학
항우연은 이러한 충돌 위험을 인지하고 즉각적인 대응에 나섰습니다. 위험 시간대(01:12~01:14)를 완전히 벗어나도록 발사 시각을 0시 54분에 최대한 가깝게 앞당기거나 조정할 계획입니다. 이는 단순한 시간 변경이 아니라, 발사체의 궤적 계산, 날씨, 지상 관제 준비 시간 등을 모두 고려한 극도로 정밀한 우주 역학 계산의 결과입니다 [2]. 발사 시각 조정은 우주 개발에서 흔한 일이지만, 이번처럼 초대형 유인 구조물과의 직접 충돌 가능성 때문에 조정되는 경우는 이례적입니다.
DAM(궤도 회피 기동) vs. 발사 스케줄 조정
ISS는 자체적으로 MMOD(Micrometeoroid and Orbital Debris) 실드와 휘플 보호막 등의 다층 방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 방어막들은 초속 10km로 날아오는 모래알 크기의 미소 파편들로부터 우주 비행사들을 보호하는 데 탁월합니다. 그러나 누리호 발사체와 같이 수십 톤에 달하는 대형 물체와의 충돌은 이러한 방호 시스템으로는 절대로 막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ISS 자체적으로도 충돌 위험이 감지될 경우, 추진기를 사용하여 궤도를 미세하게 바꾸는 궤도 회피 기동(DAM)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발사체는 아직 지상에 있으므로, 이 상황에서는 발사 시각을 조정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인 최우선 회피책입니다 [6].
우주 발사체는 특정 위성을 목표 궤도에 진입시키기 위해 발사 가능한 매우 짧은 시간 구간, 즉 '발사창(Launch Window)' 내에서만 발사되어야 합니다. 누리호의 경우도 이 발사창 내에서 ISS와의 충돌 위험을 피해 최소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시각을 찾아내는 작업이 필수적입니다. 이처럼 우주 과학은 밀리초 단위의 정밀성을 요구합니다.
최종적으로 발사 시각은 발사 전날에 열리는 발사관리위원회의 최종 심의를 거쳐 확정됩니다. 이 과정에는 우주 상황실의 실시간 궤도 예측과, 혹시 모를 비상 상황에 대비한 시나리오별 비상 대응 체계 구축이 포함됩니다 [9]. 대한민국의 우주 안전 의지와 기술력이 이번 '우주 랑데부' 상황을 어떻게 안전하게 헤쳐나갈지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출처 및 참고 자료 (Sources & References)
'IT 에 관한 잡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EU의 충격적인 결정: 화웨이/ZTE 장비 완전 금지 초읽기, 한국 통신사의 운명은? (21) | 2025.11.13 |
|---|---|
| [단독분석] 부천 제일시장 1톤 트럭 돌진 참사! '급발진' 논란, 운전자 60대 A씨의 마지막 진술과 미스터리 추적 (8) | 2025.11.13 |
| 대한민국 안보 '내부 붕괴'! 1,700만 원 받고 中에 기밀 넘긴 베이징 출신 병장의 충격 실태 (29) | 2025.11.12 |
| ⚡️윈도우 11 최신 업데이트 후 SSD 사망? 절대 깔면 안 되는 KB 코드와 긴급 해결책 (11) | 2025.11.12 |
| 세계 2위의 충격! 중국 항공모함 푸젠함, 비밀 EMALS 기술로 대만해협을 장악하다 (14) | 2025.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