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범죄조직 프린스 그룹 제재: 미·영의 21조원 압류 조치와 한국인 피해 현황
초국가적 범죄조직으로 지목된 프린스 그룹
캄보디아를 거점으로 활동해온 프린스 그룹이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를 받게 되었습니다. 이 조직은 표면적으로는 카지노, 부동산, 금융투자업을 영위하는 합법적 기업으로 위장해왔으나, 실제로는 인신매매와 온라인 사기를 조직적으로 운영해온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과 금융범죄단속네트워크는 영국 정부와 협력하여 프린스 그룹에 대한 전방위적 제재를 시행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일대에서 급증하고 있는 사기 범죄에 대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됩니다.
146건의 제재와 21조원 암호화폐 압류의 의미
미국과 영국 정부는 146건의 제재를 통해 프린스 그룹의 천즈 회장과 117개 계열사를 제재 대상에 올렸습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양국이 공조하여 약 21조 원에 이르는 막대한 규모의 암호화폐를 압류했다는 사실입니다.
미국 재무부는 공식 발표를 통해 프린스 그룹을 초국가적 범죄 조직으로 명확히 규정했습니다. 미국 법무부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천즈를 온라인 금융 사기, 자금 세탁 등의 혐의로 기소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제재를 넘어 형사 처벌까지 추진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조치입니다.
암호화폐를 활용한 범죄 자금 세탁
프린스 그룹이 암호화폐를 범죄 수익 은닉 수단으로 적극 활용해온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21조 원이라는 천문학적 규모의 암호화폐 압류는 이 조직이 얼마나 체계적으로 범죄 수익을 관리해왔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미국 정부는 초국가적 사기로 인해 미국 시민들이 수십억 달러의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습니다.
스캠 네트워크의 실체: 태자 단지와 인신매매
프린스 그룹의 범죄 양상은 단순한 온라인 사기를 넘어섭니다. 영국 정부는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 외곽에 위치한 범죄 단지 중 하나인 태자 단지를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골든 포천 리조트 월드를 제재 대상에 포함시켰습니다.
미국 정부는 프린스 그룹이 인신매매와 현대판 노예제로 운영되는 사기 단지의 범죄를 은폐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들 단지에서는 외국인들이 납치되거나 취업 사기로 유인되어 감금된 채 온라인 사기 범죄에 강제로 동원되어 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제재 대상에 포함된 주요 계열사
- 골든 포천 리조트 월드: 태자 단지를 실질 운영하는 호텔 카지노 기업
- 진베이 그룹: 프린스 그룹과 연계된 호텔 및 카지노 사업체
- 바이엑스 거래소: 범죄 수익 세탁에 활용된 가상화폐 플랫폼
이들 계열사는 합법적 사업을 가장하면서 실제로는 범죄 조직의 자금 흐름을 관리하고 범죄 수익을 은닉하는 역할을 수행해온 것으로 분석됩니다.
천즈 회장: 자선사업가로 위장한 범죄 조직 두목
1987년 중국에서 태어난 천즈는 빠른 속도로 부를 축적하며 캄보디아에서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해온 인물입니다. 그는 키프로스와 바누아투의 시민권을 취득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통해 국제적 추적을 회피하려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천즈는 자선사업과 장학재단 운영 등을 통해 합법적인 사업가이자 자선가로 행세하면서 범죄 조직의 실체를 은폐해왔습니다. 이러한 이중적 행태는 범죄 조직이 어떻게 사회적 지위를 활용하여 불법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입니다.
한국인 피해자 발생과 국내 대응의 공백
한국인들이 캄보디아에서 납치, 감금, 고문당하는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취업을 미끼로 유인되거나 납치된 한국인들이 사기 단지에 감금되어 온라인 보이스피싱이나 투자 사기에 강제로 동원되고 있습니다.
미국과 영국이 신속하게 공동 제재에 나선 것과 대조적으로, 한국 정부의 구체적인 대응책은 현재까지 명확히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과 영국은 이미 이 범죄 조직의 자금 흐름과 해외 자산을 추적하여 전격적인 제재를 시행했으나, 한국은 피해자가 다수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상응하는 제재나 외교적 압박 조치가 공개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있습니다.
국제 공조의 중요성과 한국의 역할
이번 사건은 초국가적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제 공조가 필수적임을 보여줍니다. 미국과 영국은 금융 정보를 공유하고 암호화폐 추적 시스템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제재를 시행할 수 있었습니다.
한국도 자국민 보호를 위해 보다 적극적인 외교적 노력과 국제 공조 체계 구축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캄보디아 정부와의 협력 강화, 범죄 조직에 대한 독자 제재 검토, 피해자 구조 및 지원 체계 마련 등 다각적인 대응책이 요구됩니다.
동남아 사기 단지의 구조적 문제
프린스 그룹 사례는 동남아시아 일대에서 확산되고 있는 사기 단지 문제의 빙산의 일각에 불과합니다. 캄보디아, 미얀마, 라오스 등지에서는 대규모 범죄 조직들이 합법적 사업을 가장하며 인신매매와 강제 노동을 통한 온라인 사기를 조직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범죄 단지들은 현지 정부의 묵인 또는 부패한 관료들과의 유착 관계 속에서 운영되는 경우가 많아 근절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압력과 공조만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입니다.
향후 전망과 과제
이번 미국과 영국의 제재는 동남아 사기 단지에 대한 국제사회의 본격적인 대응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신호탄입니다. 21조 원 규모의 암호화폐 압류는 범죄 조직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유사한 범죄 조직에 대한 제재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천즈와 프린스 그룹의 실제 검거와 처벌까지는 캄보디아 정부의 협조가 필수적입니다. 천즈가 캄보디아에서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압력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피해자 보호와 예방 대책
당장 필요한 것은 현재 사기 단지에 감금되어 있는 피해자들의 구조입니다. 한국을 비롯한 각국 정부는 외교 채널을 통해 자국민 구출에 나서야 하며, 동시에 취업 사기 등을 통한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한 예방 조치도 강화해야 합니다.
또한 암호화폐를 활용한 범죄 자금 세탁에 대한 국제적 감시 체계를 강화하고, 가상화폐 거래소에 대한 규제를 통해 유사한 범죄 조직의 자금 흐름을 차단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결론: 국제 공조와 적극적 대응의 필요성
프린스 그룹에 대한 미국과 영국의 제재는 초국가적 범죄에 대한 국제사회의 단호한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146건의 제재와 21조 원 규모의 암호화폐 압류는 범죄 조직에 실질적 타격을 가하는 효과적인 조치였습니다.
이제 한국도 자국민 보호를 위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야 할 시점입니다. 미국, 영국 등 주요국과의 공조를 강화하고, 캄보디아 정부와의 외교적 협상을 통해 피해자 구조와 범죄 조직 처벌에 적극 나서야 합니다.
동남아 사기 단지 문제는 단순히 개별 국가의 문제가 아닌 국제사회 전체가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지속적인 관심과 공조를 통해서만 이러한 범죄 조직을 근절하고 피해자를 보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요 참고 자료
1. 조선일보, "美·英, 캄보디아 사기단지 운영 '프린스 그룹' 제재", 2025년 10월 15일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5/10/15/24B4RXYHUZEAFIATWSIM3UJZSI/
2. Daum 뉴스, "美·英, 캄보디아 사기단지 운영 프린스 그룹 제재", 2025년 10월 16일
https://v.daum.net/v/20251016054049928
3. Daum 뉴스, "캄보디아 사기 조직 제재 관련 보도", 2025년 10월 16일
https://v.daum.net/v/20251016061218385
4. 문화일보, "프린스 그룹 관련 보도", 2025년
https://www.munhwa.com/article/11539432
5. 조선일보, "캄보디아 한국인 납치 관련 보도", 2025년 10월 16일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5/10/16/DXH53WCSLRBG3NS2WKYMTQZCHA/
면책 사항
본 문서는 공개된 언론 보도와 공식 발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모든 내용은 사실 확인을 거쳤으나, 사건의 진행 상황에 따라 새로운 정보가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내용은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법률적 자문이나 투자 조언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됩니다. 특정 사안에 대한 판단이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자문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문서 작성일 기준으로 최신 정보를 반영하였으며, 이후 발생한 상황 변화는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최신 정보는 관련 기관의 공식 발표 및 주요 언론 보도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본 문서에 인용된 출처는 블로그를 제외한 공신력 있는 언론사 및 공식 기관의 자료로 한정하였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한미 관세협상, APEC 계기 ‘즉각 타결’은 어려워… 신중론이 우세한 이유 (13) | 2025.10.28 |
|---|---|
| 노르웨이산 폭등 직격탄! 국내 연어 시장이 '이것' 때문에 역대급 호황 맞는 충격적인 이유 (11) | 2025.10.26 |
| 문지석 검사 쿠팡 사건 폭로 전말 - 검찰 내부 무혐의 지시 논란의 모든 것 (9) | 2025.10.16 |
| 주한 미공군 한국인 직원 급여 미지급 사태 - 원인과 해결 과정 총정리 (26) | 2025.10.16 |
| 캄보디아발(發) 해외 취업 사기 경고: 통장 대여 시 감금, 10억 불법 자금 유통 심각성 (33) | 2025.10.15 |